[미서부 1월 1차] Live the Impossible

이름 이현기 이메일

 

 

 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 라스베가스의 밤은 역시나 화려했다. 

 

  그랜드서클은 SNS의 사진들보다 더 깊고 광활했으며, 

 

  샌프란시스코는 그렇게나 로맨틱했다. 

 

 

 

 

척박한 땅이 끝없이 펼쳐진 네바다 주 

 

한가운데 불야성이 위치한 것도, 

 

  오랜 기간 퇴적되어 형성된 암석의 단면을 

 

현재에 온전히 마주할 수 있는 것도 

 

  모두 기적의 한 조각이라고 밖에 설명할 길이 없다.

 

 


 

 

그 시대에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콜럼버스도 

 

  어쩌면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드는

 

  미국이라는 나라의 정체성을 

 

앞서 구현해 냈을지도 모를 일이다.

 

 

 

 

 

  Live the Impossible. 

 

  라스베가스 쇼 중 가장 유명한 

 

데이비드 카퍼필드의 매직쇼를 관통하는 개요다. 

 

  별안간 우주선이 등장하는가 하면 눈 앞에 있던 관객이 

 

순간 이동하는 마술보다 내게는 더 큰 마법 같은 문장이다. 

 

  불가능에 살아라. 미 서부 여행의 모든 순간이 꼭 그러했다.

 

 


 

 

  거듭된 총기사고가 무색할만큼, 

 

천사들의 도시란 별칭을 갖고 있는 LA는 참 평화로웠다. 

 

  라라랜드의 두 주인공이 인생에서 

 

가장 아름다운 사랑을 만끽할 수 있던 이유도 

 

  그 공간이 주는 특별함이 한 몫 했을 것이다. 

 

 


 

 

  대표적으로 ‘Angels Flight’는, 

 

LA 도심 한복판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짧은 케이블카 철로다. 

 

  노후화로 운행이 중단 되었으나 영화 속 

 

재즈 피아니스트 세바스찬과 배우 지망생 미아 

 

덕분에 다시 재개될 수 있었다. 

 

  70m 남짓한 주황색 경사로를 보고 있으면 

 

이 또한 불가능을 가능하게 한 

 

기적의 또 다른 표현이라 할 수 있겠다.

 

 

 

 

  두 개의 고개를 뜻하는 샌프란시스코의 야경 명소, 

 

‘Twin Peaks'에서도 주황색의 기적을 만났다. 

 

  도시의 불빛과 밤 하늘의 별빛이 만들어낸 장관이 참 묘한데, 

 

때마침 초승달도 완벽한 커브를 자아내었다. 

 

  항상 그곳에 떠 있었지만 존재조차 몰랐던 ’베텔게우스‘는 

 

오리온자리의 알파성으로, 적색초거성이라고 한다. 

 

  이 주황빛 별이 폭발하게 되면 두 개의 달이 떠있는 듯 

 

밝은 빛을 뿜어낼거라고, 누가 그랬다. 

 

 

 

  

 

  평균나이 32.5세가 만나 마치 3.25세처럼 

 

순수하게 보냈던 2주라는 시간. 

 

  그 동안 사랑까지 할 수 있게 된 해솔이, 강산이, 예원이와 

 

  1조보다는 아주 조금 덜하지만 우리 조만큼이나 

 

사랑하는 경희, 선진이, 혜민이, 세원이까지. 

 

  기적같은 인연의 시작이 참 고맙다.

 

 


 

 

기나긴 귀국길에 에어팟을 꺼내 드는데, 

 

  뒷면에 적힌 ‘Designed by Apple in California’라는 

 

단어가 여간 반갑다. 

 

  14시간의 비행은 이렇게나 지루하지만 

 

14일이라는 시간은 비행기의 속도만큼이나 참 빨랐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
 

 

@ 혜리 팀장님, 

팀장님을 팀장님으로 만날 수 있던 것도 

참 기적같은 일이었네요.  

  일과시간이 아님에도 초대해 주신 

아침 산책의 풍경이 지금도 눈에 선합니다. 

  여행 일정이 끝났는데도 

남은 팀원들 알뜰살뜰히 챙겨 주시는 모습도요. 

  

  미라클 혜리, 정말 고마웠습니다. 

멀리서나마 항상 응원합니다.